삼항 연산자 - ( 참일 때의 값 if 조건 else 거짓일 때의 값 )
- 연산 대상의 개수에 따라 연산자를 분리하면 단항 연산자, 이항 연산자, 삼항 연산자로 분리할 수 있다.
- 단한 연산자는 부호 (+, -), not 등이 있고, 이항 연산자는 +, -, *, / 등의 대부분의 연산자이다.
기본 if else
- 짝수 홀수 판별
삼항 연산자
- 짝수 홀수 판별
1
2
3
|
a = int(input())
# (참일 때의 값) if (참이 될 조건) else (거짓일 때의 값)
print("짝수" if a % 2 == 0 else "홀수")
|